nayoungs
항상 끈기있게
nayoungs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4)
    • Cloud (21)
      • AWS (15)
      • Azure (3)
      • NCP (2)
      • GCP (1)
    • DevOps (68)
      • Docker (16)
      • Kubernetes (50)
      • CICD (2)
    • IaC (25)
      • Ansible (17)
      • Terraform (8)
    • Certification (4)
    • 금융 IT (5)
    • AI (3)
    • Linux (47)
    • 미들웨어 (5)
    • Programming (7)
      • GoLang (3)
      • Spring (4)
    • CS (25)
      • 네트워크 (17)
      • 운영체제 (5)
      • Web (1)
      • 개발 상식 (2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0)
    • Algorithm (59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36)
      • 백준 (18)
      • 알고리즘 정리 (5)
    • ETC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nayoungs

항상 끈기있게

CS/네트워크

[네트워크] 이더넷(Ethernet)과 이더넷 프레임(Frame)

2022. 2. 11. 16:49
728x90

 

📌INDEX

  • MAC 계층과 LLC 계층
  • 이더넷
    • 이더넷(ehternet) 정의
    • 프레임
    • 프레임 구조



✔️ MAC계층과 LLC계층

MAC 계층

  • LAN 종류에 따라 특성이 구분됨
  • 이더넷(CSMA/CD)
    • 공유 버스 구조를 지원하며, 충돌 현상 발생
    • 충돌 감지 기능이 필요
    • 충돌 현상 발생 시 호스트는 이를 감지하고,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 재전송해야함.
  • 토큰 링: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시점을 제어하므로 충돌 발생 불가

LLC 계층

  • LAN 환경의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을 수행
  • LAN 종류에 따라 MAC 계층의 설계 형태가 영향을 받는 것처럼, LLC 계층도 LAN 특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음
  •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LLC와 토큰링에서 사용하는 LLC는 약간 다를 수 있음



✔️ 이더넷

이더넷(Ethernet)

LAN 구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방식 중 하나로, Layer 2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

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)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.

 

CSMA/CD방식이란❔

  • CSMA/CD 방식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반송파 여부를 감지한다. 반송파가 감지되면 다른 컴퓨터(스테이션)에서 데이터 송신 중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.
  • 만약 반송파가 감지되지 않으면 컴퓨터가 전송매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.
  • CSMA/CD : half-duplex (송신과 수신 동시에 불가능) -> 데이터 전송량 많은 때 충돌발생 
  1. 호스트가 Frame을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상에 다른 Frame이 전송되는지 확인 : Carrier Sense(네트워크 신호가 있는지 감지)
    • 충돌이 발생하면 Frame을 전송한 장비들은 서로 랜덤한 시간을 대기한 후 다시 재전송
    • 충돌 발생 시 최대 15회까지 재전송을 시도하고, 그래도 실패하면 Frame전송 포기
  2. Ethernet에 연결된 장비들은 네트워크 상에 Frame의 흐름이 없을 때 서로 동시에 Frame을 전송할 수 있다. : Multiple Access(다중 접근)
  3. Ethernet은 복수의 장비가 동시에 Frame을 전송할 수 있고, 이 경우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후 충돌 발생 여부를 확인 : Collision Detection(충돌감지)

 

최근에는 full-duplex를 사용한다.

  • full- duplex로 동작하는 링크는 Frame의 송신과 수신이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.
  • 따라서 충돌 감지도 하지 않는다.
  • 송수신 트래픽 양이 동일하다면 half-duplex보다 full-duplex 속도가 2배 더 빠르다.

 

프레임

  • MAC 프레임 = MAC 헤더 + LLC 프레임 + MAC 트레일러
  • LLC 프레임: LLC 계층이 MAC 계층에서 전송하도록 요청한 데이터

 

프레임 구조

  • ⭐이더넷 프레임 구조
    • MAC 헤더: Preamble, Start Delimiter, Destination Address, Source Address, Length
    • LLC 프레임: DATA
    • LLD 트레일러: Pad, Checksum
     

https://blackrimslifestory.blogspot.com/2018/02/ethernet-frame.html

 

- Preamble: 수신 호스트가 송신 호스트의 클록 동기를 맞추는 용도 (송신자와 수신자의 동기화)
- Start Delimiter: 프레임의 시작 위치 구분
- Source Address: 송신 호스트의 MAC 주소
- Destination Address: 수신 호스트의 MAC 주소
- Length or Type: Data 필드에 포함된 가변 길이의 전송 데이터 크기, 패킷의 종류
- Checksum: 데이터 변형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

 

LLC 프레임과의 관계

이더넷 프레임의 Data 필드: LLC 계층에서 보내진 LLC 프레임을 보관

 

 

 

 

 

728x90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  'CS/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네트워크] 오류 검출
    • [네트워크] OSI 참조모델
    • [네트워크] 네트워크 접속 장치
    • [네트워크] 네트워크의 기능과 계층구조
    nayoungs
    nayoungs
    안되면 될 때까지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