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youngs
항상 끈기있게
nayoungs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4)
    • Cloud (21)
      • AWS (15)
      • Azure (3)
      • NCP (2)
      • GCP (1)
    • DevOps (68)
      • Docker (16)
      • Kubernetes (50)
      • CICD (2)
    • IaC (25)
      • Ansible (17)
      • Terraform (8)
    • Certification (4)
    • 금융 IT (5)
    • AI (3)
    • Linux (47)
    • 미들웨어 (5)
    • Programming (7)
      • GoLang (3)
      • Spring (4)
    • CS (25)
      • 네트워크 (17)
      • 운영체제 (5)
      • Web (1)
      • 개발 상식 (2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0)
    • Algorithm (59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36)
      • 백준 (18)
      • 알고리즘 정리 (5)
    • ETC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nayoungs

항상 끈기있게

Cloud/AWS

[AWS] Amazon EC2(Elastic Compute Cloud)

2022. 3. 29. 19:32
728x90

📌INDEX

  • AWS IDC(Internet Data Center)
  • Amazon EC2란?
  •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
  • Amazon EC2 구매 옵션
  • Windows 서버용 EC2 인스턴스 만들기
  • Windows 서비스 접속하기



✔️ AWS IDC

  • Amazon Web Service(AWS)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 전세계 주요 지역에 IDC(Internet Data Center)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운영
  •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을 크게 리전(Region),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, 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)으로 구분할 수 있음
  • 리전(Region)
    • 전세계 주요 국가에 리전(Region)을 구축하여 해당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
      • 재해 또는 불가항력으로 서버가 정지되었을 때 대처 가능
    • 리전별로 지원해주는 가장 머신 및 서비스가 다양
  •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
    • 가용 영역이란 데이터 센터(Internet Data Center, IDC)를 말함
    • **AWS 하나의 리전(region)에 다수의 가용 영역(AZ)**을 보유
    • 가용 영역이 위치한 데이터 센터(IDC)는 같은 리전이라도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음
      • 하나의 가용 영역(AZ)이 재해, 정전, 테러 화재 등 다양한 이유로 작동 불능이 되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(AZ)에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
  • 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)
    • Amazon의 CDN 서비스인 Cloud Front를 위한 캐시 서버(Cache Server)들의 모음을 의미
    • CDN 서비스는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, 콘텐츠(HTML, 이미지, 동영상, 기타 파일)를 서버와 물리적으로 사용자들이 빠르게받을 수 있도록 전세계 곳곳에 위치한 캐시 서버에 복제해주는 서비스
    • 가까운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는 것이 속도가 훨씬 빠르므로, CDN 서비스는 전세계 주요 도시에 캐시 서버를 구축해 놓음



✔️ Amazon EC2란?

  • Amazon EC2는 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 AWS 상에서 안정적이며, 크기를 조정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
    •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
  • 이러한 가상화 서버(Virtual Server)를 '인스턴스(Instance)'라 부르며, 필요에 따라 한 개의 인스턴스에서 수천 개의 인스턴스로 손쉽게 컴퓨팅 파워를 확장할 수 있음
  • EC2의 주요 특징
    • 한개에서 수천 개의 인스턴스로 확장 가능
    • 모든 공개된 AWS Region에서 사용 가능
    •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의 생성, 시작, 수정, 중단, 삭제 가능
    • Linux/Windows OS에서 사용 가능하며 모든 소프트웨어 설치 가능
    • 사용한 사용량에 대해서만 시간 단위 비용 과금
    • 다양한 비용 모델(온디맨드, 스팟, 예약) 선택 가능
  • 프리티어(Free Tier)
    • Linux/Windows t2.micro 인스턴스 월 750시간 제동(1GB 메모리, 32bit or 64bit 플랫폼 지원)
    • 가입 후 12개월 이후에 종료됨



✔️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

Amazon EC2 인스턴스의 유형은 크게 범용(M 시리즈), 컴퓨팅 최적와(C 시리즈), 스토리지 최적화(I시리즈, D 시리즈), GPU 최적화(G 시리즈), 메모리 최적화(R 시리즈)로 나눌 수 있음

  • 범용(M 시리즈)
    • 균형 있는 컴퓨팅, 메모리 및 네트워킹 리소스를 제공, 다양한 여러 워크로드에 사용 가능
    • 웹 서버 및 레포지토리와 같이 이러한 리소르를 동등한 비율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
  • 컴퓨팅 최적화(C 시리즈)
    • 고성능 프로세스를 활용하는 컴퓨팅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
    • 배치 처리 워크로드, 미디어 트랜스코딩, 코성능 웹서버, HPC(고성능 컴퓨팅), 과학적 모델링, 전용 게임 서버 및 광고 서버 엔진, 기계 학습 추론 및 기타 컴퓨팅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압
  • 스토리지 최적화(I 시리즈, D 시리즈)
    • 로컬 스토리지에서 매우 큰 데이터 세트에 대해 많은 순차적 읽기 및 쓰기 액세스를 요구하는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
    •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대기 시간이 짧은, 수만 단위의 무작위 IOPS(초당 I/O 작업 수)를 지원하도록 최적화
  • GPU 최적화(G 시리즈)
    • G3, G4dn, P2, P3 P3dn 및 P4d 인스턴스에서 최고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
  • 메모리 최적화(R 시리즈)
    • 메모리에서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는 워크로드를 위한 빠른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



✔️ Amazon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

Amazon EC2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매 옵션을 제공함

  • 온디맨드 인스턴스(On-Demand) :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스턴스에 대해 초 단위 비용을 지불
    • 시간당 컴퓨터 용량 비용 지불 및 장기 계약, 약정 없음
    • 증감하는 부하
  • 예약 인스턴스(Reserved) : 1년 또는 3년의 기간에 대한 약정을 통해 온디맨드보다 최대 75% 즈렴한 비용 지불
    • 확정된 사용률
  • 스팟 인스턴스(spot) : 경매 방식의 인스턴스로 스펙을 정해 비용을 입찰하여, 높은 가격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인스턴스가 할당됨
    • 시간 무관한 부하
  • 전용 인스턴스(Dedicated) : 고객 전용이 하드웨어에서 인스턴스 서비스를 제공
    • 매우 민감한 부하



✔️ Windows 서버용 EC2 인스턴스 만들기

1) AWS 로그인

 

2) EC2 접속 > 인스턴스 > 인스터스 시작

 

3) Windows Server 2022 Base 선택

 

4) t2.micro 선택 후 다음

 

5) 별다른 설정 없이 다음

 

6) 별다른 설정 없이 다음

 

7) 태그 추가 : 필수 아닌 선택, 이후 특정 인스턴스를 빠르게 찾기 위함

 

8) 보안 그룹 구성 : 자신의 ip 입력(ipfind 또는 네이버창에 ip 주소 입력 후 확인)

 

9) 검토 후 시작

 

10) 키 페어 생성

 

11) 키 페어 이름 입력 > 키 페어 다운로드 > 인스턴스 시작

 

12) EC2에 다시 접속하여 생성된 인스턴스 확인

 

13) EC2 접속 > 생성된 인스턴스 ID 클릭 > 연결 클릭

 

14) RDP 클라이언트 > 암호 가져오기 클릭

 

 15) Browse 클릭 > .pem 확장자의 키(key) 열기

 

16) 암호 해독

 

17) 원격 데스크톱 파일 다운로드 > 연결

 

18) 암호 복사 > 입력

 

19) '예' 클릭

 

20) 연결 완료



✔️ Windows 서비스 접속하기

1) 연결된 windows 서버에서 Server Manager 실행

 

2) Add roles and features 클릭(대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음)

 

3) 모두 next > Server Roles에서 IIS 선택

 

4) install 클릭

 

5) 설치 완료 후 close 클릭

 

6) EC2 > 보안그룹 > HTTP 80번 포트 열어줌

 

7) 인스턴스의 퍼블릭 ip4 주소로 접속

 

728x90
저작자표시
    'Cloud/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AWS] PC(Windows 시스템)의 파일을 Amazon S3로 백업하기
    • [AWS] Amazon S3에 파일 업로드 및 삭제하기
    • [AWS] 스토리지(Storage): S3, Glacier
    • 클라우드 컴퓨팅(Cloud Computing)
    nayoungs
    nayoungs
    안되면 될 때까지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