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youngs
항상 끈기있게
nayoungs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4)
    • Cloud (21)
      • AWS (15)
      • Azure (3)
      • NCP (2)
      • GCP (1)
    • DevOps (68)
      • Docker (16)
      • Kubernetes (50)
      • CICD (2)
    • IaC (25)
      • Ansible (17)
      • Terraform (8)
    • Certification (4)
    • 금융 IT (5)
    • AI (3)
    • Linux (47)
    • 미들웨어 (5)
    • Programming (7)
      • GoLang (3)
      • Spring (4)
    • CS (25)
      • 네트워크 (17)
      • 운영체제 (5)
      • Web (1)
      • 개발 상식 (2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0)
    • Algorithm (59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36)
      • 백준 (18)
      • 알고리즘 정리 (5)
    • ETC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nayoungs

항상 끈기있게

Cloud/GCP

[GCP] VM 인스턴스 생성하기

2022. 9. 16. 15:33
728x90

본 포스팅은 GCP(Google Cloud Platform)에서 VM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.

 

✔️ VM Instance 생성하기

GCP 콘솔에서 [Compute Engine] - [VM 인스턴스]를 클릭한다.

프로젝트가 없다면 [프로젝트 만들기]를 클릭하고, [Open API 사용]을 클릭한다.

 

[인스턴스 만들기]를 클릭하고, 생성하려는 인스턴스의 이름과 리전, 영역을 선택한다.

 

원하는 머신 구성을 선택하고, 부팅 디스크 항목에서 [변경]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선택한다.

 

[모든 Cloud API에 대한 전체 액세스 허용] 옵션을 선택하면, VM이 모든 Cloud API에 접근할 수 있게된다. 방화벽은 HTTP와 HTTPS 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한다.

 

만들기를 클릭하면, 시간이 조금 지난 후 VM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내부IP와 외부IP를 확인할 수 있는데, 이를 AWS에 비유하면 각각 Private IP와 Public IP라고 할 수 있다.

 

어디까지나 샘플 차원에서 예시를 들어 정리한 것으로, 세부사항은 각자의 상황에 맞게 조정해서 만들면 된다.

 

 

SSH를 클릭하면, 브라우저에 터미널이 열린다.

SSH를 통해 GCP Compute Engine의 VM인스턴스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
이와 같이 웹 콘솔로 접근하는 방법도 있지만, 편의를 위해 로컬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자.

 

 

새로운 VM의 initial configuration을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

sudo apt update
sudo apt upgrade
sudo apt install build-essential -y

 

그리고 로컬 Windows Terminal로 접속하기 위해 로컬 PC에서 다음 명령어를 통해 키를 생성한다.

ssh-keygen

퍼블릭 키를 복사한다.

cat .ssh/id_rsa.pub

VM의 [메타데이터] - [SSH 키]를 선택하여 복사한 키를 붙여넣고, 저장한다.

 

 

VM의 외부IP를 복사하여, SSH키의 사용자 이름으로 ssh 접속을 시도하면,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$ ssh [User]@[External IP]
Welcome to Ubuntu 20.04.5 LTS (GNU/Linux 5.15.0-1017-gcp x86_64)

 * Documentation:  https://help.ubuntu.com
 * Management:     https://landscape.canonical.com
 * Support:        https://ubuntu.com/advantage

  System information as of Thu Sep 15 05:24:02 UTC 2022

  System load:  0.0               Processes:             105
  Usage of /:   22.4% of 9.51GB   Users logged in:       1
  Memory usage: 7%                IPv4 address for ens4: 
  Swap usage:   0%


0 updates can be applied immediately.

New release '22.04.1 LTS' available.
Run 'do-release-upgrade' to upgrade to it.



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;
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program are described in the
individual files in /usr/share/doc/*/copyright.

Ubuntu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, to the extent permitted by
applicable law.

[User]@oss:~$



✔️ VM 인스턴스 IP 고정하기

현재 생성한 VM 인스턴스는 외부 IP 주소가 고정되어있지 않아, 임시 외부 IP 주소로 설정되어있는 상태이다. 따라서 외부 주소 고정 예약을 통해 외부 IP주소를 고정한다.

 

[VPC 네트워크] - [IP 주소]를 클릭한다.

 

[외부 IP 주소]를 선택하고, VM의 외부 IP주소를 확인하여 선택한 뒤, 이름을 기입하고 예약을 클릭한다.



 

✔️ alias 사용하기

앞으로 로컬에서 VM으로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 ~/.ssh/config 파일에 다음과 같이 alias를 등록해둘 수 있다.

sudo vi ~/.ssh/config
Host oss
        HostName [IP주소]
        User [사용자]

파일 작성 후 권한을 변경해준다.

sudo chmod 440 ~/.ssh/config

원래 ssh User@IP주소로 접속했다면, 이제 다음 명령어로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.

ssh oss



 

728x90
저작자표시 비영리 (새창열림)
    nayoungs
    nayoungs
    안되면 될 때까지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