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단계:<2557>
Hello World! 를 출력해보자.
코드:
print("Hello World!")
출력:
Hello World!
2단계:<10718>
두 줄에 걸쳐 "강한친구 대한육군"을 한 줄에 한번씩 출력하자.
코드:
print("강한친구 대한육군")
print("강한친구 대한육군")
출력:
강한친구 대한육군
강한친구 대한육군
3단계:<10171>
기호를 이용하여 고양이를 출력해보자.(출력모양 참조)
역슬래시(\)를 쓸때는 \\와 같이 두개를 연속해서 적어야 인식된다.
코드:
print("\\ /\\")
print(" ) ( ')")
print("( / )")
print(" \\(__)|")
출력:
\ /\
) ( ')
( / )
\(__)|
4단계:<10172>
이번에는 개를 출력해보자. (출력모양 참조)
코드:
print("|\_/|")
print("|q p| /}")
print("( 0 )\"\"\"\\")
print("|\"^\"` |")
print("||_/=\\\\__|")
출력:
|\_/|
|q p| /}
( 0 )"""\
|"^"` |
||_/=\\__|
5단계:<1000>
두 정수 A,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(0<A,B<10)
코드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입력:
1 2
출력:
3
6단계:<1001>
이번에는 두 정수 A, B를 입력받은 다음 A-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0<A,B<10)
코드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-B)
입력:
3 2
출력:
1
7단계:<10998>
이번에는 두 정수 A, B를 입력받은 다음 A*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0<A,B<10)
코드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*B)
입력:
2 1
출력:
1
8단계:<1008>
두 정수 A, B를 입력받은 다음, A/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0<A,B<10)
코드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/B)
입력:
1 3
출력:
0.3333333333333333
9단계:<10869>
두 자연수 A, B를 입력하고, 이때 A+B, A-B, A*B, A/B(몫), A%B(나머지)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자.
(1 ≤ A, B ≤ 10,000)
코드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print(A-B)
print(A*B)
print(A//B)
print(A%B)
입력:
7 3
출력:
10
4
21
2
1
10단계:<10869>
세 수 A,B,C를 순서대로 입력하고, 첫째 줄에 (A+B)%C, 둘째 줄에 ((A%C) + (B%C))%C, 셋째 줄에 (A×B)%C, 넷째 줄에 ((A%C) × (B%C))%C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(2 ≤ A, B, C ≤ 10000)
코드:
A, B, C =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(A+B)%C)
print(((A%C) + (B%C))%C)
print((A*B)%C)
print(((A%C)*(B%C))%C)
입력:
5 8 4
출력:
1
1
0
0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iIEKI/btrs7l3lnh6/QGmkbNRaxm99QKjMh0XMm0/img.png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