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ux] 파일의 초기 데이터 살펴보기 : head
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에는 여러가지가 있다. 대표적으로 cat
more
head
tail
등이 있다. 단 파일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, cat
이나 vi
로 그 내용을 확인하려면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다. 이때, 텍스트로된 파일의 앞부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head
이다.
head
head 명령어는 이름 그대로 파일의 머리, 즉 파일의 시작 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. 주로 파일의 내용이나 로그 파일의 초기 부분을 확인할 때 많이 사용된다.
$ head [옵션] [파일명]
기본적으로 head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출력한다.
$ head filename.log
처음 N줄 출력하기
-n
옵션을 사용하면, 처음 N줄을 출력할 수 있다.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파일의 처음 20줄을 출력한다.
$ head -n 20 filename.log
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N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0줄이 출력된다.
크기(바이트)로 출력하기
-c
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처음 N바이트를 출력할 수 있다. 바이트 단위로 내용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다.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파일의 처음 50바이트를 출력한다.
$ head -c 50 filename.log
여러 파일을 동시에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.
파일명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나열하면, 각 파일의 시작 부분을 연속적으로 출력한다.
$ head file1.log file2.log
대표적인 옵션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옵션 | 의미 |
---|---|
-c , --bytes | 끝에서부터 K 바이트 출력 옵션 |
-n, --lines | 끝에서 부터 K 라인 출력 옵션 |
-v, --verbose | 헤더 포함 출력 옵션 |
-q, —quiet | 헤더 미포함 출력 옵션 |
tail
명령어 대한 사용법은 다음 포스팅을 확인해볼 수 있다.
[Linux] tail 활용 가이드 : 실시간 로그 다루기
리눅스 시스템에서 작업을 하다보면, 매우 큰 파일의 일부만 빠르게 확인하거나, 로그 파일에 로그가 쌓이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.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명령어가
nayoungs.tistory.com